- 종묘의 뜻과 종류, 종자의 형태와 구조
종묘의 뜻은 무엇인지, 종자의 분류는 어떠한지 살펴보고 종자의 형태와 구조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한다.
- 종묘의 뜻과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종묘의 뜻
식물번식의 시발점(일이 처음 시작되는 지점)이 되는 종자와 모를 합하여 ‘종묘’라고 한다. 번식에 쓰이는 줄기와 잎도 종묘에 포함된다.
- 종자의 분류
넓은 뜻의 종자는 영양체(생식에 직접 관여하지 않고 개체 영양에 관계하는 부분을 뜻한다. 종자식물은 뿌리ㆍ줄기ㆍ잎, 동물은 생식 기관 이외 부분이 이에 해당한다), 버섯의 종균(버섯의 씨가 되는 균사를 뜻한다)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유성생식을 거친, 즉 수정에 의하여 밑씨(꽃이 피는 식물의 꽃의 암꽃술에 있는 중요 기관)가 발육한 것을 식물학상 종자라고 한다. 아포믹시스(무수정종자형성, 무수정생식)에 의하여 형성된 종자도 식물학상 종자로 취급하며, 체세포 배( 식물 체세포가 상처 회복과 같은 세포분열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배 발생 과정을 거쳐 형성한 배상체)를 이용한 인공종자도 종자로 분류한다.
1. 형태에 의한 구분
씨방벽이 발달하여 과피가 되고, 이에 싸인 부분이 과실(성숙한 씨방)이 된다. 수정 후 씨방과 그 관련기관이 비대한 것이 과실이다. 주피(껍질켜)가 발달하여 종피가 되고, 주심이 발달하여 내종피가 된다. 밑씨가 발달하여 종자가 된다.
1) 식물학상의 종자 : 두류(콩 · 완두 · 강낭콩) · 유채 · 담배 · 아마 · 목화 · 참깨 · 배추 · 토마토 · 무 · 오이 · 수박 · 고추 · 양파 등
2) 식물학상의 과실 :
a. 과실이 나출(속의 것이 겉으로 드러난 것)된 것 : 쌀보리 · 밀 · 메밀 · 옥수수 · 호프 · 삼 · 차조기 · 박하 · 제충국 · 우엉 · 상추 · 쑥갓 · 근대 · 미나리 · 비트 · 시금치 등
b. 과실이 영(이삭)에 싸여 있는 것 : 벼 · 겉보리 · 귀리 등
c. 과실이 내과피에 싸여 있는 것 : 복숭아 · 앵두 · 자두 등
3) 포자 : 버섯 · 고사리 등
4) 영양기관 : 감자 · 고구마 등
2. 배유의 유무에 의한 구분
1) 배유종자 : 벼 · 보리 · 밀 · 옥수수 등의 볏과 종자와 피마자 · 양파 등
2) 무배유종자 : 콩 · 팥 · 완두 등의 콩과 종자와 상추 · 오이 등
3. 저장물질에 의한 구분
1) 전분종자 : 미곡 · 맥류 · 잡곡 등의 화곡류 등
2) 지방종자 : 참깨 · 들깨 등
- 종묘로 이용되는 영양기관의 분류
1) 눈(bud) : 마 · 포도나무 · 꽃의 아삼 등
2) 잎 : 베고니아 등
3) 줄기
a. 지상경(지상부에 나온 고등 식물의 줄기) 또는 지조(식물의 줄기) : 사탕수수 · 포도나무 · 사과나무 · 귤나무 · 모시풀 등
b. 땅속줄기 : 생강 · 연 · 박하 · 호프 등
c. 덩이줄기 : 감자 · 토란 · 돼지감자 등
d. 알줄기 : 글라디올러스 등
e. 비늘줄기 : 나리 · 마늘 등
f. 흡지(온대지역 여러해살이풀에 있는 휴면 기관의 일종이다. 각 마디에서 방사상 형태로 발생한 땅속줄기 또는 기는줄기의 일부로 나온 눈이다) : 박하 · 모시풀 등
4) 뿌리
a. 지근(땅위줄기에서 나온 막뿌리의 하나로 땅속으로 뻗어 들어가 줄기를 버티어 준다) : 닥나무 · 고사리 · 부추 등
b. 덩이뿌리 : 달리아 · 고구마 · 마 등
- 모의 분류
식물학적 견지에서는 초본묘와 목본묘로 구분되고, 육성법에 따라 실생묘 · 삽목묘 · 취목묘 · 접목묘 등으로 구분된다.
- 종자의 형태와 구조는 다음과 같다.
‘외떡잎식물’인 옥수수 종자의 구조를 보면 가장 바깥층은 과피(열매의 씨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으로 씨방 벽이 발달하여 이루어졌으며, 외과피ㆍ중과피ㆍ내과피로 나누어진다)로 둘러싸여 있고, 그 안에 배유(씨앗 속에 발아하기 위한 양분을 저장하고 있는 조직)와 배가 발달되어 있다. 주로 전분이 저장되어 있는 세포층이 배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배유에 영양분을 다량 저장하고 있는 종자를 ‘배유종자’라고 한다.
성숙한 배는 중배축과 배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배축에는 줄기 · 잎 및 뿌리가 분화되어 있고, 배반은 배유조직과 접해 있으면서 배유의 영양분을 배축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배축(초엽과 유아)과 유근 및 근초를 포함한 부분을 ‘배축’이라 하고, 배축과 떡잎을 합하여 ‘배’라고 한다. 배유는 3n이며, 지하자엽형(지하에서 씨앗이 움터 싹이 나옴) 발아를 한다.
‘쌍떡잎식물’인 강낭콩의 종자는 배유조직이 완전히 또는 거의 퇴화되어 양분을 떡잎에 저장한다. 강낭콩의 종자는 유아(제1엽)와 유근(종자식물의 배에 만들어진 뿌리로 싹이 튼 후에 자라서 뿌리가 된다)이 분화되어 있는 배, 영양분이 저장되어 있는 떡잎, 그리고 종피(식물의 씨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로 외종피와 내종피가 있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유가 없다. 이와 같이 배유가 없거나 퇴화하여 위축된 종자를 ‘무배유종자’라고 한다. 쌍떡잎식물은 2개의 떡잎(2n, 배)으로 되어 있으며, 대부분 지상자엽형(지상에서 씨앗이 움터 싹이 나옴) 발아를 한다. 그러나 완두와 잠두는 예외로 지하자엽형 발아를 한다.
'재배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86. 채종재배와 채종포의 선정 및 관리 (0) | 2022.10.28 |
---|---|
85. 종자의 품질 (0) | 2022.10.26 |
83. 우리나라 작부체계의 변천과 발전 방향 (0) | 2022.10.22 |
82. 답전윤환과 혼파, 그 밖의 작부체계 (0) | 2022.10.20 |
81. 윤작 방식과 작물의 선택 및 윤작 효과 (0) | 2022.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