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학 공부109

49. 한해(drought injury)와 한해 대책 - 한해와 한해 대책 - 한해(drought injury)란 다음과 같다. 한해란 상당 기간 강수가 없어 토양수분이 부족하게 되어 작물이 피해를 입는 것을 말한다. 한해는 관개시설(많은 수확을 위하여 논밭에 물을 대고 빼는 시설. 수원 확보 시설, 물 대기 시설, 배수 시설 따위로 이루어진다)이 좋아진 논에서보다 그렇지 못한 밭에서 더욱 심각한 농업 기상재해이다. - 한해의 발생 토양이 건조하면 식물체 내의 수분함량도 감소하여 생육이 나빠지고, 심하면 위조(쇠약하여 마름)·고사(나무나 풀 따위가 말라 죽음)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봄과 가을에 강우량이 적어서 밭작물은 항상 건조의 피해를 입고, 관개시설이 없는 논에서는 모내기가 불가능하거나 극히 늦어져서 큰 피해를 입는 일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2003년 .. 2022. 9. 13.
48. 요수량의 지배요인과 대기 중의 수분과 강수 - 요수량의 지배요인과 대기 중의 수분과 강수 - 작물의 요수량은 다음과 같다(2). - 요수량의 지배요인 1. 작물의 종류 요수량은 수수·기장·옥수수 등이 작고, 앨팰퍼·클로버 등이 크다. 흰명아주의 요수량은 극히 크며, 이 잡초는 토양수분을 많이 수탈(강제로 빼앗음)한다. 작물의 요수량(g) : 호박(834), 앨팰퍼(831~835), 클로버(759~799), 완두(745~788) 아마(752), 강낭콩(656), 잠두(646), 목화(646), 감자(499~636) 호밀(634), 귀리(597~604), 메밀(540), 보리(523~534), 밀(455~550) 사탕무(377), 옥수수(361~368), 수수(285~380), 기장(274~310) 오이(713), 흰명아주(948) 2. 생육단계 건.. 2022. 9. 12.
47. 작물의 수분 흡수 및 요수량 - 작물의 수분 흡수 및 요수량 - 작물의 흡수는 다음과 같다(2). - 흡수의 기구 식물세포의 원형질막(세포질을 둘러싸고 있는 막. 인지질 이중 층 안에 단백질 분자가 삽입되어 있거나 붙어 있는 구조이나, 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하고 운반하며 외부의 신호를 감지하는 등 세포의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구조이다)은 인지질(분자 안에 인산 에스터를 가진 복합 지질. 거의 모든 생물의 조직 속에 들어 있으며, 신경 전달이나 효소계의 조절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로 된 반투막이며, 외액이 세포액보다 농도가 낮을 때에는 외액의 수분 농도가 세포액보다 높은 결과가 되므로, 외액의 수분이 반투성인 원형질막을 통하여 세포 속으로 확산해 들어가는데, 이를 ‘삼투’라 하고, 내·외액 간의 농도 차로 인하여 삼투를 일으키는.. 2022. 9. 11.
46. 토양오염과 재배환경에서의 수분 - 토양오염 - 토양오염은 다음과 같다. 토양오염은 농업이 아닌 다른 산업부문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농경지로 유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대기오염과 수질오염이 원인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고, 농업 내부에서 비료·농약·제초제 등의 다량 투입으로 인하여 일어나기도 한다. - 중금속 오염 오염 배출원은 금속 광산의 폐수, 정련 및 제련소의 분진, 금속공장의 폐수,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터리공장, 화력발전소 등이다. [피해기구] 우려 또는 대책기준치 이상을 흡수하면 효소 단백의 금속이온과 치환하여 호흡작용이 저해되는 경우부터, 심한 경우에는 세포가 사멸한다. 1) 비소(As) : 논 토양에 비소의 함량이 10ppm을 넘으면 벼의 수량이 감소한다. 2) 구리(Cu) : 생육장해를 받으며, 벼보다 맥류가 더욱 민감하게 .. 2022. 9. 10.
45. 토양조건과 미생물, 토양의 침식과 보호 - 토양조건과 미생물, 토양의 침식과 보호 - 토양미생물은 다음과 같다(2). - 토양조건과 미생물 토양유기물이 많고 토양통기가 양호하기 위해서는 토양반응이 중성에서 미산성이며, 토양온도가 20~30℃ 이고, 토양수분 함량이 적절해야 하며, 이때 미생물의 활동이 왕성하다. 유해한 토양미생물은 윤작(같은 땅에 여러 가지 농작물을 해마다 바꾸어 심는 일)이나 담수, 때로는 배수 등으로 조건을 바꾸어주거나 토양을 소독하면 경감된다. 콩과작물을 새로운 땅에 재배할 때는 순수배양 한 뿌리혹박테리아의 우량계통을 종자와 혼합하거나, 직접 토양에 바로 주거나 그 콩과작물의 생육이 좋았던 밭의 그루(풀이나 나무 따위의 아랫동아리. 또는 그것들을 베고 남은 아랫동아리) 주변의 표토를 채취하여 40~60kg/10a 정도 첨.. 2022. 9. 9.
44. 토양미생물의 유익한 활동 및 유해한 활동 - 토양미생물의 유익한 활동 및 유해한 활동 - 토양미생물은 다음과 같다. - 작물에 유익한 활동 1. 유기물의 분해 미생물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불필요한 유기물의 집적(모아서 쌓음)을 막고, 무기화 작용으로 유리(화합물에서 결합이 끊어져 원자나 원자단이 분리되는 일)되는 양분을 식물이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유기태(탄소 화합물에 포함되어 존재하는 양분의 형태. 유기 화합물 형태로 존재하는 양분으로, 질소의 경우 담백태, 아미노태, 요산태 따위가 있다) 질소화합물을 무기태(탄소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양분의 형태. 암모늄태 질소나 질산태 질소 따위가 있다)로 변환하는 것을 질소의 무기화작용이라고 하며, 그 첫 단계가 암모니아화작용이다. 점성의 분해중간물은 토양입단의 안정성을 높인다. 유기물의 분해에서.. 2022.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