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학 공부109 31. 작물 유전자원의 보존과 이용, 환경의 개념 - 작물 유전자원의 보존과 이용, 환경의 개념 - 유전자원의 의의 식물 중에서 인류가 이용할 수 있는 유전변이를 ‘유전자원’이라고 한다. 그동안 유전자원을 이용하여 많은 우량품종을 육성하였다. 그 결과 유전적으로 다양한 재래종들이 급속히 사라지게 되었으며, 이를 ‘유전적 침식’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0년간 작물의 재래종 중에서 1/3이 멸종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수의 우량품종을 확대 재배함으로써 병해충이나 냉해 등 재해로부터 일시에 급격한 피해를 받게 되었는데, 이를 ‘유전적 취약성’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다수성인 통일형 품종은 1980년에 냉해로 인해 평년작보다 32%가 감수하였다. 따라서, 유전자원을 탐색·수집·보존하는 일은 장래 육종은 물론, 인류의 미래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 2022. 8. 26. 30. 작물 신품종의 유지와 증식, 보급 - 작물 신품종의 유지와 증식, 보급 - 신품종의 등록과 특성유지는 다음과 같다. - 신품종의 등록과 보호 신품종에 대한 품종보호권을 설정, 등록(국립종자원, Korea Seed & Variety Service)하면, 종자산업법(1997. 12. 31. 시행, 종자의 생산ㆍ보증 및 유통, 종자 산업의 육성 및 지원 따위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종자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농업, 임업, 수산업 생산의 안정에 기여하기 위해 만든 법)에 의하여 ‘육성자의 권리’를 20년(과수와 임목은 25년)간 보장받는다.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UPOV, 식물의 신품종 보호를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 신품종 육성자의 권리를 보장하고 식물 종자 보증 제도를 보호하는 것을 원칙으로, 우수한 품종의 개발과 유통을 촉진함으로써 .. 2022. 8. 25. 29. 생물공학적 작물 육종 - 생물공학적 작물 육종 - 생물공학적 작물육종은 다음과 같다. - 조직배양 식물의 조직배양(생물체의 조직을 떼어 내어 배양ㆍ증식하는 일. 발생학 및 병리학의 연구에 응용한다)은 세포, 조직, 지관 등으로부터 완전한 식물체를 재분화시키는 배양 기술이다. 조직배양은 원연종(계통으로 보아 혈통이 먼 종류), 속간잡종의 육성, 바이러스무병묘 생산, 우량한 이형접합체(상동 염색체의 같은 유전자좌에 서로 다른 대립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개체)의 증식, 인공종자 개발, 유용 물질 생산, 유전자원 보존 등에 이용된다. 조직배양을 하는 배지(식물이나 세균, 배양 세포 따위를 기르는 데 필요한 영양소가 들어 있는 액체나 고체)에 돌연변이유발원이나 스트레스를 가하면 변이 세포를 선발할 수 있다. 종·속간 잡종의 육성은 ‘.. 2022. 8. 24. 28. 배수성 육종 및 돌연변이 육종 - 배수성 육종 및 돌연변이 육종 - 배수성 육종은 다음과 같다. ‘배수성 육종’은 배수체(염색체 수가 배수성인 개체. 일반적으로 원종보다 몸의 크기와 종자의 크기가 크므로 작물의 품종 개량에 이용된다)의 특성을 이용하여 신품종을 육성하는 육종방법이다. 3배체 이상의 배수체는 2배체에 비하여 세포와 기관이 크고,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하며, 함유 성분이 증가하는 등 형질 변화가 일어난다. 배수체를 작성하는 방법으로 세포분열이 왕성한 생장점에 ‘콜히친(콜키쿰의 씨에 많이 들어 있는 누런색 알칼로이드. 관절염의 치료 약, 식물의 생장 호르몬 따위로 쓴다)’을 처리하거나 또는 조직배양에서 생기는 배수성 세포(3x, 4x 등)를 재분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콜히친의 작용은 분열 중인 세포에서 방추체(세포가 .. 2022. 8. 23. 27. 1대 잡종 육종 - 1대 잡종 육종 - 1대잡종육종은 다음과 같다. - 1대잡종품종의 이점 ‘1대잡종육종’은 잡종강세(잡종 제일 대가 양친보다 형태, 내성, 다산성 따위에서 뛰어난 현상)가 큰 교배조합의 1대잡종(F1)을 품종으로 육성하는 육종방법이다. ‘1대잡종품종’은 수량이 높고, 균일한 생산물을 얻을 수 있으며, 우성유전자를 이용하기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매년 새로 만든 F1 종자를 파종하므로 종자산업 발전에 큰 몫을 담당한다. 1대잡종품종은 배추, 무, 옥수수 등 타식성 작물에서 이용되기 시작하여 1과당 채종량이 많은 박과나 가지과 채소 등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최근에는 벼나 밀 등 자식성 작물에서도 웅성불임성(꽃가루, 꽃밥, 수술의 생식 기관에 결함이 있어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 주로 꽃가.. 2022. 8. 22. 26. 타식성 작물의 육종과 영양번식작물의 육종 - 타식성 작물의 육종과 영양번식작물의 육종 - 타식성 작물의 육종은 다음과 같다. - 타식성 작물 집단의 유전적 특성 타식성 작물은 타가수분(서로 다른 유전자를 가진 꽃의 꽃가루가 곤충이나 바람, 물 따위의 매개에 의하여 열매나 씨를 맺는 일)을 하므로 대부분 이형접합체이다. 이러한 타식성 작물을 인위적으로 자식 시키거나 ‘근친교배(혈연이 매우 가까운 것 사이의 교배. 가축이나 가금의 혈통을 보존하거나 품종을 개량하기 위하여 행한다)’를 하면 작물체의 생육이 불량해지고 생산성이 떨어지는데, 이를 ‘근교약세’ 또는 ‘자식약세’라고 한다. 근교(or자식)약세의 원인은 자식이나 근친교배에 의하여 이형접합체가 동형접합체로 되고, 이형접합체의 열성유전자가 분리되기 때문이다. 한편, 타식성 작물의 근친교배로 약세.. 2022. 8. 21.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