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학 공부

48. 요수량의 지배요인과 대기 중의 수분과 강수

by 잡학농부 2022. 9. 12.

- 요수량의 지배요인과 대기 중의 수분과 강수

 

- 작물의 요수량은 다음과 같다(2).

 

- 요수량의 지배요인

1. 작물의 종류

요수량은 수수·기장·옥수수 등이 작고, 앨팰퍼·클로버 등이 크다. 흰명아주의 요수량은 극히 크며, 이 잡초는 토양수분을 많이 수탈(강제로 빼앗음)한다.

 

작물의 요수량(g) :

호박(834), 앨팰퍼(831~835), 클로버(759~799), 완두(745~788)

아마(752), 강낭콩(656), 잠두(646), 목화(646), 감자(499~636)

호밀(634), 귀리(597~604), 메밀(540), 보리(523~534), 밀(455~550)

사탕무(377), 옥수수(361~368), 수수(285~380), 기장(274~310)

오이(713), 흰명아주(948)

 

2. 생육단계

건물(사전의 뜻 : 마른 식료품, 여기서는 수분을 제외한 수확물 정도로 생각하면 될 듯하다)생산의 속도가 느린 생육 초기에 요수량이 많다.

 

3. 환경

광 부족, 많은 바람, 공기 습도의 저하, 저온과 고온, 토양수분의 과다 및 과소, 척박한 토양 등의 환경은 수분 소비에 비해서 건물축적을 더욱 낮추어 요수량이 많아진다.

 

- 대기 중의 수분과 강수는 다음과 같다.

 

- 습도

대기의 습도가 높지 않고 적당히 건조해야 증산이 활발하며, 양분 흡수가 촉진되어 생육이 좋다. 동화양분(동화는 식물이 공기 중의 이산화 탄소와 뿌리에서 흡수한 물로 잎의 엽록체 안에서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수화물을 만드는 작용이며 양분은 그 결과물)의 전류도 공기가 다소 건조할 때 촉진된다.

 

그러나 과도한 건조는 불필요한 증산을 크게 하여 한해(가뭄으로 인하여 입은 재해)를 유발한다. 공기가 과습하면 증산이 줄고, 병균의 번식을 조장하며, 식물체의 기계적 조직이 약해져서 병해와 도복(작물이 비나 바람 따위에 쓰러지는 일)을 유발하고, 탈곡·건조작업도 곤란하다.

 

대기의 습도에 영향을 주는 강수 현상을 지상으로 강하하는 속도로 구분하면, 안개는 약 0.003m/s, 이슬비 약 0.75 m/s, 가랑비 약 4m/s, 비 약 6m/s, 소나기 약 7m/s, 호우 약 9.1m/s, 눈 0.5m/s, 싸락눈 약 10m/s, 우박은 약 32m/s 등이다.

 

- 이슬

지중해 연안의 포도 재배지와 같이 건조가 심한 지대에서는 이슬의 수분공급 효과도 있다고 하나, 일반적으로 이슬은 기공을 막아서 증산작용과 광합성을 떨어뜨리고 작물을 연약하게 한다. 병균의 침입을 조장한다는 견해도 있다. 못자리(볍씨를 뿌리어 모를 기르는 곳)에서 이슬을 털어주는 일이 있다.

 

- 안개

안개란 극히 작은 물방울이 대기 중에 떠다니는 현상으로, 수평 시정(하늘을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는 물체를 볼 수 있는 최대의 수평 거리. 10개의 등급으로 나누어 관측한다)이 1km 이하인 상태를 말한다. 짙은 안개는 햇볕을 차단하여 일조시간을 상당히 줄이고, 지온을 낮게 하며, 상대습도가 100%에 가까워 작물에 해롭다.

 

해무가 심한 지대에서는 해풍이 불어오는 방향에 방무림(바다 위에 끼는 안개의 피해로부터 논밭을 보호하려고 해안 지대에 조성한 숲. 보통 앞쪽에 사스래나무, 오리나무, 물참나무 따위의 활엽수를, 뒤쪽에 일본잎갈나무를 심는다)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잎이 잘 나부끼는 나무가 안개를 헤치는 효과가 크다고 하며, 오리나무·참나무 등이 알맞으나, 전나무·낙엽송 등도 심는다. 귀리·풋베기 목초·순무 등은 안개가 심한 고장에 적응성이 높다.

 

- 비

비란 빗방울 또는 빗방울이 낙하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강우라고도 한다. 알맞은 비는 작물생육의 기본요인이며, 부족하면 한해를 일으키고, 과다하면 습해·수해를 일으킨다. 비가 오래 계속되면 일광 부족, 공기과습, 토양과습, 온도 저하 등을 초래하여 여러모로 작물생육에 해롭다.

 

- 우박

우박이란 얼음의 작은 입자 또는 덩어리가 낙하하는 강수 현상을 말한다. 우박의 지름은 5~50mm이나 이보다 더 큰 것도 있다. 적란운(적운보다 낮게 뜨는 수직운. 위는 산 모양으로 솟고 아래는 비를 머금는다. 물방울과 빙정(氷晶)을 포함하고 있어 우박, 소나기, 천둥 따위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이 강한 상승기류를 타고 성장하여 뇌전을 동반하여 내리는 경우가 많다.

 

우박은 대체로 국지적으로 좁은 띠를 형성하여 내리며, 심하게 작물을 손상시킨다. 그리고 그 후작용으로 생리적·병리적 장해를 유발한다. 우박을 예측해서 사전에 수확하거나 또는 피복을 해서 피해를 막도록 해야 한다. 우박 뒤에는 약제를 살포해서 병해의 발생을 막고, 또 비배관리(거름을 잘 뿌려 토지를 걸게 하여 식물을 가꿈)를 잘해서 건실한 생육을 꾀하도록 한다.

 

- 눈

눈이란 구름으로부터 낙하하는 눈 조각 또는 눈 조각이 낙하하는 현상을 말한다.

 

1. 눈의 이점

눈이 오면 월동 중에 토양수분을 공급하여 월동작물의 건조해를 막고, 풍식을 경감한다. 눈이 깊게 덮이면 눈 밑에 있는 작물의 온도 저하를 경감해서 동해를 방지하거나 경감한다. 기온이 -20℃ 일 때라도 40cm의 적설이 있으면 지표 온도는 -1℃ 정도를 유지한다.

 

적설의 깊이와 지온 :

적설 깊이 5cm일 때, 지온 -19.14℃

적설 깊이 10cm일 때, 지온 -14.41℃

적설 깊이 20cm일 때, 지온 -8.95℃

적설 깊이 30cm일 때, 지온 -6.24℃

 

2. 설해

눈이 너무 많이 오면 과수의 가지가 찢어지는 등의 기계적 장해를 일으키고, 작물이 적설 밑에 오래 있게 되면 쇠약해지며, 맥류에서는 설부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눈이 녹을 때 눈사태를 일으키고, 저습지에 습해를 유발하기도 한다. 목야지(가축을 방목하거나 목초를 수확하기 위해 사용되는 토지를 통틀어 이르는 말)에서 봄 늦게까지 눈이 덮여 있으면 봄철의 목초 생육을 더디게 한다.

 

3. 설해 대책

적설의 피해가 우려될 때는 눈을 녹이는 조처를 한다. 물을 대거나, 흙 또는 재를 뿌리거나 한다. 규산석회를 밑거름 삼아 눈 위에 미리 뿌려도(150kg/10a) 눈이 빨리 녹으며, 공장의 매연을 모은 그린애쉬(green ash)를 뿌리면(100kg/10a) 눈이 1주일 정도는 일찍 녹는다.

 

설부병이 발생하는 지대에서는 내설성이 강한 품종을 택하도록 하며, 적설이 심한 곳에서는 과수를 월동 전에 전정하여 불필요한 긴 가지를 잘라주도록 한다. 융설기(눈이 녹는 시기)에는 배수가 잘되도록 꾀할 필요가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