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학 공부109

109. 비료의 배합 재배학 공부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비료의 배합’입니다. 비료의 배합 배합비료의 장점과 배합 상 불리한 점 또는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료의 배합 상호 부족한 성분을 보충할 목적으로 두 가지 이상의 비료를 혼합한 것을 조합비료(mixed fertilizer) 또는 배합비료(compound fertilizer)라고 한다. (1) 배합비료의 장점 1) 비효의 지속을 조절할 수 있음 : 작물은 생육단계에 따라 필요한 양분이 다르므로 속효성 비료(금비나 분뇨처럼 비교적 분해가 쉬우며 단시일에 효과가 나타나는 비료)와 지효성 비료(효과가 늦게 나타나는 비료. 퇴비, 두엄, 깻묵 등)를 적당량 배합하는 것은 매우 유리하다. 2) 시비의 번잡을 덜 수 있음 : 배합비료는 단일비료를 여러 차례에 걸쳐 .. 2023. 6. 1.
108. 시비량과 시비법 재배학 공부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시비량과 시비법’입니다. 시비량과 시비법 시비량의 이론적 계산법과 시비의 시기, 시비의 평면적 위치, 시비의 입체적 위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비량 □ 시비량의 이론적 계산법 이론적으로 단위면적 당 시비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시비량 = (비료 요소 흡수량-천연공급량)/비료 요소의 흡수율 비료 요소의 흡수량은 단위면적 당 전체 수확물 중에 함유된 비료 요소를 분석﹒계산하여 구한다. 단위면적 당 수량과 이 수량을 낼 때의 비료 요소 흡수량을 구하여 시비량 계산의 시초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비료 요소의 천연공급량이란 토양 중에서 또는 관개수(농사에 필요하여 논밭에 대는 물)에 의하여 천연으로 공급되는 비료 요소의 분량을 말하는데, 어떤 비료 요소에 대하여 무.. 2023. 5. 9.
107. 작물의 종류, 품종, 생육과정, 재배조건별 시비 재배학 공부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작물의 종류, 품종, 생육과정, 재배조건별 시비’입니다. 작물의 종류, 품종, 생육과정, 재배조건별 시비 작물의 종류와 품종, 생육과정과 재배조건별 시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작물의 종류와 시비 1) 작물은 종류에 따라 양분요구 특성이 다르므로, 그에 합당한 시비를 해야 한다. 작물의 종류에 따른 3요소 흡수량은 아래와 같다. 작물별 3요소(N:P:K) 흡수비율 콩 - 5:1:1.5 벼 - 5:2:4 맥류 - 5:2:3 옥수수 - 4:2:3 고구마 - 4:1.5:5 감자 - 3:1:4 2) 수확물의 이용부위에 따라서도 적합한 시비를 해야 한다. 종자를 수확하는 작물 : 영양생장기에는 질소의 효과가 크고, 생식생장기에는 인과 칼리의 효과가 크다. 과실을 수확하는 작.. 2023. 4. 11.
106. 최소양분율과 수량점감의 법칙, 비료요소의 형태와 특성 재배학 공부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최소양분율과 수량점감의 법칙, 비료요소의 형태와 특성’입니다. 최소양분율과 수량점감의 법칙, 비료요소의 형태와 특성 최소양분율과 수량점감의 법칙, 비료요소의 형태와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소양분율 작물의 생육에는 여러 종류의 양분이 필수적으로 필요하지만, 실제 재배에서는 모든 종류의 양분이 동시에 작물의 생육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양분 중에서 필요량에 대해 공급이 가장 적은 양분에 의하여 작물생육이 제한되는데, 이 양분을 ‘최소양분(minimum nutrient)’이라고 한다. 리비히(LIEBIG / 1840)는 최소양분의 공급량에 의하여 작물의 수량이 지배된다고 하는 ‘최소양분율(law of minimum nutrient)’을 제창하였다. 수량점감(체감.. 2023. 3. 14.
105. 시비와 비료의 종류 재배학 공부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시비와 비료의 종류’입니다. 시비와 비료의 종류 시비와 비료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비 ‘비료(manure, fertilizer)'란 부식이나 필요한 무기원소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작물의 생육을 조장하기 위해 토양이나 작물체에 공급되는 물질을 말하며, 비료를 주는 것을 ‘시비(manuring, fertilization)’라고 한다. (비료요소와 그 생리적 역할에 대해서는 32번~46번 포스팅 참조. 32번 링크를 하단에 첨부함.) 2022.08.27 - [재배학 공부] - 32. 지력과 토성 32. 지력과 토성 - 지력과 토성 (토양부터는 용어가 어렵다. 생소한 단어는 뜻과 함께 이해해야 한다) - 지력이란 다음과 같다. 토양조건은 작물의 생육에 지대한 영향.. 2023. 2. 28.
104. 이식(옮겨심기) 재배학 공부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식(옮겨심기)’입니다. 이식(옮겨심기) 이식(옮겨심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식 및 정식 현재 자라고 있는 장소(보통은 묘상)로부터 다른 장소(보통은 본포)에 작물(보통은 모)을 옮겨 심는 것을 ‘이식(옮겨심기, transplanting)’이라고 한다. 본포(모종이나 묘목을 옮겨 심을 밭이나 논)에 옮겨 심는 것을 ‘정식(아주심기)’이라고 하며, 정식을 이식이라 하기도 한다. 벼에서는 이식을 ‘모내기’라고도 부른다. 정식할 때까지 잠정적으로 이식해 두는 것을 ‘가식’이라고 하며, 가식을 해서 두는 곳을 ‘가식상’이라고 한다. 이식의 이로운 점은 다음과 같다. 1) 생육 촉진 및 수량 증대 효과 : 온상(인공적으로 따뜻하게 하여 식물을 기르는 설비)에서 보온 육.. 2023.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