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1

7. 작물의 생태적, 재배 및 이용에 따른 분류 재배학 공부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작물의 생태적, 재배 및 이용에 따른 분류' 입니다. 작물의 생태적, 재배 및 이용에 따른 분류 작물의 생태적, 재배 및 이용에 따른 분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작물의 생태적 분류 1. 생존연한(살아있는 햇수)에 따른 분류 옥수수, 콩, 벼 등과 같이 봄에 파종(곡식이나 채소 따위를 키우기 위하여 논밭에 씨를 뿌림)하여 그해 안에 성숙하는 작물을 ‘1년생 작물’이라 하고, 가을보리, 가을밀 등과 같이 가을에 파종하여 그다음 해 초여름에 성숙하는 작물을 ‘월년생 작물’이라고 한다. 무, 사탕무 등과 같이 봄에 파종하여 그다음 해에 성숙하는 작물을 ‘2년생 작물’이라고 한다. 아스파라거스, 호프(뽕나뭇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영년생 목초(목초로 사용되는 여러해살이풀.. 2022. 8. 4.
6. 작물의 분류 재배학 공부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작물의 분류' 입니다. 작물의 분류 작물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작물의 기원지 한 식물이 최초로 발생한 지역을 그 식물의 ‘기원지’라고 한다. 식물의 기원지를 알아내는 방법은 근연(분류학적으로 유연관계가 깊은) 야생종의 분포와 품종의 다양성으로부터 찾는 ‘식물지리학적 방법’, 탄소연대측정 등 식물 유체(‘시체’를 달리 이르는 말)의 분석을 포함하는 ‘고고학적 방법’, ‘세포유전학적 방법’, ‘유전자 분석법’, ‘DNA 염기서열분석’ 등 생화학적 및 생물학적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된다. 여기에 언어학 및 민속학적 자료가 보완적 증거로 이용된다. 식물의 지리적 기원을 탐구하는 데 큰 업적을 남긴 사람은 드 캉돌(DE CANDOLLE)과 바빌로프(VAVILOV)이다.. 2022. 8. 3.
5. 작물의 기원과 전파 재배학 공부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작물의 기원과 전파' 입니다. 작물의 기원과 전파 작물의 기원과 전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재배의 기원과 발달 우리나라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유물과 유적이 많이 발견되며, 드물지만 구석기시대의 것도 발견된다.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에서 1978년 4월에 발견된 가로날 도끼와 주먹도끼 등의 아슐리안 문화(또는 아슐 문화, 아슐 문화는 인류의 선사시대인 전기 구석기 시대 석기를 제작하는 고고학적인 공법이며, 아프리카, 서아시아, 유럽, 그리고 일부 동아시아 등지에 걸쳐있다. 1백만년 전의 인류의 주요한 석기 제작 기술이었으며, 아프리카를 떠나 유라시아로 건너온 인류가 최초의 이 석기를 사용하는 인류였다) 구석기 유물은 한반도의 구석기 문화가 멀게는 20만년.. 2022. 8. 3.
4. 식물의 생육조절, 농기구 및 농자재, 작부방식 재배학 공부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식물의 생육조절, 농기구 및 농자재, 작부방식' 입니다. 식물의 생육조절, 농기구 및 농자재, 작부방식 식물의 생육조절과 농기구 및 농자재, 작부방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식물의 생육조절 다윈(DARWIN/1880)이 식물의 굴광성(굴성의 하나로, 식물체가 빛의 자극에 반응하는 성질. 잎과 줄기는 빛의 방향으로, 뿌리는 그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다)을 관찰한 후 네덜란드인 벤트(WENT/1926)는 귀리의 어린줄기 선단부에서 식물생육조절물질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쾰(KOEGL/1934~1935) 등은 이 조절 물질의 본체가 옥신(auxin)임을 규명하였다. 옥신은 최초의 식물생장조절제, 즉 식물호르몬이었다. 1926년 일본의 식물병리학자인 쿠로자와는 벼의 키다.. 2022. 8. 2.
3. 세계의 재배의 발달 재배학 공부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세계의 재배의 발달' 입니다. 세계적인 재배의 발달 세계적인 재배의 발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작물의 개량 식물에도 암수의 구별이 있다는 것이 1694년 R.J. 카메라리우스(R.J. CAMERARIUS)에 의하여 처음 밝혀진 후, 1761년 J.G. 쾰로이터(J.G. KOELREUTER)는 ‘식물의 성(암수 구별)에 관한 실험과 관찰’을 출간하고 교잡(개통, 품종, 성질이 다른 암수의 교배)에 의하여 개체를 얻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작물의 개량은 1859년 종의 기원을 발표한 C.R. 다윈(C.R. DARWIN)의 ‘진화론’이 나온 이후 발전하였다. 진화론에서는 획득형질(생물이 후천적인 환경 요인이나 훈련에 의하여 변화한 성질)이 유전한다고 보았으나, 바이.. 2022. 8. 1.
2. 재배의 기원과 발달 재배학 공부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재배의 기원과 발달' 입니다. 재배의 기원과 발달 재배의 기원과 발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재배의 기원 - 석기시대의 생활과 원시 재배 구석기시대의 인간은 식물의 뿌리, 잎, 종자, 과실 등을 채취하거나 동물을 사냥하여 식량을 확보하였으며, 한 곳에서 식량을 마련하기 어려워지면 다른 곳으로 이동하였다. 신석기시대에는 인구가 늘고 들짐승이 감소함에 따라 식량을 마련하기 위해 들짐승이나 들새를 길들여 사육하는 원시 축산이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가축 떼를 몰고 먹이를 찾아다니는 유목이 시작되었고 정착 축산은 후에 발달하였다. 인류가 농경을 시작할 때는 최후의 빙하기가 끝나고 지구의 기온이 현재와 비슷해진 약 1만년 전의 신석기시대 초기로 추정된다. 이 시기에 유럽, .. 2022.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