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1 55. 공기와 작물 및 대기 조성과 작물 생육 - 공기와 작물 및 대기 조성과 작물 생육 ‘토양공기’는 [39. 토양공기의 조성 및 촉진책] 글에 있다. - 공기와 작물은 다음과 같다. 1) 작물의 광합성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재료로 한다. 2) 작물의 호흡작용은 대기 중에 산소가 있어야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 3) 대기 중 질소는 질소고정균에 의한 유리질소고정(생물이 공중에 분자 상으로 존재하는 유리 질소를 잡아서 암모니아 또는 아미노산 따위의 유도체로 환원하는 현상)의 재료가 된다. 4) 대기 중 아황산가스 등의 유해성분은 작물체에 직접 유해작용을 미친다. 5) 토양산소의 부족은 토양 중에 환원성 유해물질이 생성되는 원인이 된다. 6) 토양산소의 변화는 비료성분의 변화와 관계가 있으므로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친다. 7) 바람은 여러 면에서 .. 2022. 9. 19. 54. 수질오염과 수질오염원 및 수질 등급 - 수질오염과 수질오염원 및 수질 등급 - 수질오염이란 다음과 같다. ‘수질오염’이란 공장 또는 도시의 폐수나 폐기물, 광산폐수 등의 배출로 인하여 하천, 호수, 지하수, 해양의 수질이 오염되어 마침내 인간이나 동·식물이 피해를 입는 것을 말한다. - 수질오염원 수질오염물질은 각종 유기물, 시안(cyan) 화합물(청산 및 그와 관련된 모든 염류. 불이 잘 붙고 폭발성이 있으며 물에 잘 녹는 편이다. 맹독성 기체로 인체나 동물에 들어가게 되면 혈액의 산소 운반체와 결합하게 되어 질식 증상이 일어난다), 중금속류, 농약, 강산성 및 강알칼리성 폐수 등 유독물질들이다. 1. 도시 오수 ㄱ. 질소 및 유기물 산업단지 또는 도시 근교에 있는 논에 질소함량이 높은 폐수가 유입되면 벼에 과번무(동화 산물의 수용부인 .. 2022. 9. 18. 53. 작물 수해와 관수해 및 수해의 대책 - 작물 수해와 관수해 및 수해의 대책 - 수해는 다음과 같다. - 수해의 발생 비가 많이 와서 유발되는 피해를 ‘수해’라고 한다. 수해는 단기간에 호우가 내릴 때 흔히 발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7~8월 장마 때 국지적으로 발생한다. 2~3일간의 연속강우량에 따른 수해의 발생 정도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100~150mm : 저습지의 국부적 수해 2) 200~250mm : 하천 및 호소(늪과 호수를 아울러 이르는 말) 부근 상당한 지역의 수해 3) 300~350mm : 광범위한 지역의 큰 수해 - 수해의 양상 1) 토양이 붕괴하여 산사태·토양침식 등이 일어난다. 2) 유출된 토사에 전답이 파괴되고 매몰된다. 3) 유거수(지표면을 따라 흐르는 물. 비가 내릴 때, 비탈진 토양이나 침투성이 낮은 토양에서.. 2022. 9. 17. 52. 작물 내습성과 습해 대책 및 배수 - 작물 내습성과 습해 대책 및 배수 - 습해는 다음과 같다(2). - 작물의 내습성 다습한 토양에 대한 작물의 적응성을 ‘내습성’이라고 하는데,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내습성에 관여한다. 1. 경엽(줄기와 잎을 아울러 이르는 말)에서 뿌리로 산소를 공급하는 능력 소택작물(물가의 습지나 얕은 물 속에서 재배하는 작물)인 벼는 밭작물인 보리와 비교하면 잎·줄기·뿌리에 통기계(공기가 이동하는 기관)가 잘 발달하여 지상부에서 뿌리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담수조건에서도 잘 생육한다. 또한, 뿌리의 피층 세포가 직렬로 되어 있는 것은 사열로 되어 있는 것보다 세포의 간극이 커서 뿌리에 산소를 공급하는 능력이 크기 때문에 내습성이 강하다. 생육 초기의 맥류처럼 잎이 지하의 줄기에 착생하고 있는 것은 뿌리에 산소.. 2022. 9. 16. 51. 관개수량과 관개방법, 습해의 발생 - 관개수량과 관개방법, 습해의 발생 - 관개(irrigation)란 다음과 같다(2). - 밭의 관개수량 밭에 관개할 때에는 강우 상태, 토성(흙의 성분이나 성질. 입자 크기와 조성에 따라 분류한다), 작물의 종류 등에 따라 관개(농사를 짓는 데에 필요한 물을 논밭에 댐)를 조절해야 하는데, 그 대체적인 기준은 아래와 같다. 1) 작물 뿌리의 깊이가 천근성(90cm)인 경우 사질토(100~150mm), 양토(200~250mm), 식질토(250~350mm) 토성이 식질이고 작물이 심근성일수록 1회 관개량을 많게 한다. 1회 관개량이 적고 작물의 요수량이 클수록 관개와 관개 사이의 일수를 짧게 한다. 1) 작물의 요수량이 클 경우 1회 관개량 25mm일 때, 간단일수는 3~6일 1회 관개량 75mm일 때,.. 2022. 9. 15. 50. 관개의 효과와 밭의 관개, 논의 용수량과 관개 방식 - 관개의 효과와 밭의 관개, 논의 용수량과 관개 방식 - 관개(irrigation)란 다음과 같다. - 관개의 효과 1. 논에서의 담수 관개(포장의 관개 수로를 이용하여 농경지 전면에 물을 채우는 관개 방법) 효과 ㄱ. 생리적으로 필요한 수분의 공급 생리적으로 필요한 수분을 공급한다. ㄴ. 온도의 조절 작용 담수(물을 채우는 일)는 벼의 생육 초기 저온기에는 보온 효과가 크고, 혹서기에는 과도하게 높은 지온과 수온을 낮추어 준다. 특히, 심수관개( 냉해 따위의 기상 장해를 막거나, 벼의 분얼을 억제하기 위하여 깊게 물을 공급하는 일. 벼의 생육 온도 조절 및 태풍 통과 시에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는 감수분열기에 저온이 닥쳤을 때 생장점을 물에 잠기게 함으로써 물의 비열(물질 1그램의 온도를 1℃ 올리.. 2022. 9. 14.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