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작2 81. 윤작 방식과 작물의 선택 및 윤작 효과 - 윤작 방식과 작물의 선택 및 윤작 효과 윤작이란 무엇인지 살펴보고 윤작의 방식과 윤작에서의 작물 선택, 윤작의 효과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 윤작이란 다음과 같다. 한 포장(논과 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에 연작(동일한 땅에 동일한 작물을 해마다 심어 가꾸는 것)하지 않고 몇 가지 작물을 특정한 순서로 규칙적으로 반복하여 재배해 나가는 것을 ‘윤작(돌려짓기)’이라고 하며, 유럽에서 발달한 작부 방식이다. - 윤작 방식 1. 순 3 포식 농법 ‘순 3 포식 농법’은 포장을 삼등분하여 경지의 2/3는 춘파 곡물(봄에 씨를 뿌리는 곡물) 또는 추파 곡물(가을에 씨를 뿌리는 곡물)을 재식(농작물이나 나무를 심는 것)하고 나머지 1/3은 휴한(토질을 개량하기 위해 일정 기간 작물 재배를.. 2022. 10. 19. 79. 우리나라 재배 기술의 변천과 작부체계 - 우리나라 재배 기술의 변천과 작부체계 우리나라 작물 재배 기술의 변천을 살펴보고 작부체계의 뜻과 중요성, 그리고 작부체계의 변천과 발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 우리나라 재배 기술의 변천은 다음과 같다. 1960년대에 우리나라 논 면적의 80% 정도에서 답리작(벼를 베어낸 논에 보리나 채소와 같은 작물을 심는 일)으로 맥류(보리 종류를 통틀어 이른다. 보리, 귀리, 밀 등이 있다)가 재배되었으나, 2003년에는 45%만이 재배되고 있다. 대신 답리작으로 양념 채소와 잡곡 등의 재배가 많이 늘어났다. 이와 같은 작목의 변천에는 겨울철 비닐 농업의 개발이 큰 영향을 끼쳤다. 한편, 밭에서는 1970년대까지 맥류와 두류(씨를 식용하는 콩과 식물을 통틀어 이른다. 땅콩, 완두, 콩, 팥 등이 있다), 맥.. 2022. 10.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