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상생태형의 분류와 위도에 따른 지리적 분포 및 재배적 특성
기상생태형은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기본영양생장형과 감광형, 감온형, blt형이며 이를 살펴보고, 위도에 따른 기상생태형의 지리적 분포와 우리나라가 속한 중위도지대에서의 기상생태형의 재배적 특성을 알아보도록 한다.
- 기상생태형의 분류, 지리적 분포, 재배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기상생태형의 분류
1. 기본영양생장형
기본영양생장형(Blt형)은 기본영양생장성이 크고, 감광성과 감온성이 작아서 생육기간이 주로 기본영양생장성에 지배되는 것이다(ex. 벼의 통일형 품종)
2. 감광형
감광형(bLt형)은 기본영양생장성과 감온성이 작고 감광성이 커서 생육기간이 주로 감광성에 지배되는 것이다.
3. 감온형
감온형(blT형)은 기본영양생장성과 감광성이 작고 감온성이 커서 생육기간이 주로 감온성에 지배되는 것이다.
4. blt형
세 가지 성질이 모두 작아서 어떤 환경에서도 생육기간이 짧은 것이다.
- 기상생태형의 지리적 분포
1. 고위도지대
고위도지대에서는 생육기간이 짧고 서리가 일찍 온다. 그리고 고위도지대나 중위도지대 모두 감온성이 발동하는 고온기는 늦봄부터 여름에 걸쳐서 오고, 감광성이 발동하는 단일기는 여름부터 초가을에 걸쳐서 오므로, 자연적인 기상환경은 감온성의 발동시기가 감광성의 발동시기보다 역일상으로 앞서 있다.
따라서, 고위도지대에서는 기본영양생장성 · 감광성 · 감온성이 모두 작아서 생육기간이 짧은 blt형이나 기본영양생장성과 감광성이 작고 감온성이 커서 일찍이 고온에 감은하는 감온형(blT형)이 일찍 출수(벼, 보리 등의 작물에서 이삭이 패는 것)하여 안전하게 성숙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기상생태형들이 분포한다. 감광형은 늦게 감응하고, 기본영양생장형은 환경에 관계없이 기본영양생장기간이 길어서 출수가 늦어 안전하게 성숙할 수 없으므로 분포하기 힘들다.
2. 중위도지대
중위도지대에서는 서리가 늦게 오므로 어느 정도 늦게 출수해도 안전하게 성숙할 수 있고, 또 이러한 품종들이 다수성이므로 주로 이러한 품종들이 분포한다. 감온성 · 감광성이 작고 기본영양생장성이 비교적 큰 기본영양생장형(Blt형)이나 기본영양생장성 · 감온성이 작고 감광성이 큰 감광형(bLt형)이 이것이다. 그러나 감온형(blT형) 품종들도 조생종(같은 농작물 가운데 다른 것보다 일찍 성숙하는 품종)으로 존재한다.
3. 저위도지대
저위도지대인 적도 부근은 연중 고온과 단일의 환경이므로 감온성이나 감광성이 큰 것은 출수가 빨라져서 생육기간이 짧고 수량이 적으나, 감온성 · 감광성이 작고 기본영양생장성이 큰 기본영양생장형(Blt형)은 연중 고온 · 단일인 환경에서도 생육기간이 길어서 다수성(작물의 유전 형질이 다수확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는 특성)이 되므로 주로 이러한 품종이 분포한다.
적도에서 멀어지고 재배기간이 여름에서 겨울에 이르는 경우(대만의 2기작이나 인도의 가을재배는 6~7월에 파종하여 10~11월에 수확함)에는 일장이 장일로부터 단일로 변화하는데, 이러한 재배지대에서는 감광성이 높아서 알맞은 한계일장(일장이 식물의 생육 및 개화에 영향을 미칠 때, 반응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경계가 되는 일장)에 감응하여 출수하는 감광형(bLt형)도 존재한다.
- 기상생태형과 재배적 특성
중위도지대에 속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주요 작물에 있어서 조생종은 대체로 감온형(blT형)에, 만생종은 대체로 감광형(bLt형)에 속하며, 그 중간 것은 중간형이라고 한다. 중위도지대를 대상으로 하여 벼품종의 기상생태형에 따르는 재배적 특성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조만성
파종과 모내기를 일찍이 할 때 blt형 · 감온형은 조생종이 되고, 기본영양생장형 · 감광형은 만생종이 된다.
2. 묘대일수감응도
손모내기에서 ‘묘대일수감응도’란 못자리기간을 길게 할 때 모가 노숙하고, 모낸 뒤 생육에 난조가 생기는 정도를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벼가 못자리 때 이미 생식생장의 단계로 접어들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못자리기간이 길어져서 못자리 때 영양이 결핍되고 고온기에 이르면 감온형은 쉽게 생식생장의 경향을 보이지만, 감광형이나 기본영양생장형은 이러한 조건에서도 좀처럼 생식생장의 경향을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묘대일수감응도는 감온형이 높고, 감광형 · 기본영양생장형이 낮다. 수리안전답(자연에 의존하여 용수를 이용하는 천수답과는 반대개념으로 각종 수리시설물을 이용해 용수를 이용하는 지역을 수리안전답이라 한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기계모내기를 하는 상자육묘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본다.
3. 작기이동과 흡수
조파조식(씨를 제철보다 일찍 뿌려 심음)을 할 때보다 만파만식(씨를 제철보다 늦게 뿌려 심음)을 할 때 출수기가 지연되는 정도는 기본영양생장형과 감온형이 크고, 감광형이 작다. 전자는 대체로 일정한 유효적산온도를 채워야만 출수하므로 조파조식보다 만파만식에서 출수가 크게 지연되나, 후자는 주로 단일기에 감응하고, 특히 한계일장에 만감한 것은 조파조식을 하거나, 만파만식을 하거나 간에 대체로 일정한 단일기에 주로 감응하므로 이앙기(모를 내는 시기)의 이르고 늦음에 따른 출수기의 차가 크지 않다.
4. 만식적응성
만식적응성은 이앙기를 늦게 할 때 적응하는 특성이다. 기본영양생장형은 만식을 하면 출수가 너무 지연되어 성숙이 불안정해지고, 김온형은 못자리기간이 길어지면 생육에 난조가 온다. 그러나 감광형은 만식을 해도 출수의 지연도가 적고 묘대일수감응도도 낮아서 만식적응성이 크다.
5. 조식적응성
조기수확을 목적으로 조파조식을 할 때에는 감온형 · blt형이 알맞다. 수량이 많은 만생종 중에서 냉해 등을 회피하기 위하여 출수 · 성숙을 비교적 앞당기려고 할 때에는 중 정도의 기본영양생장형이 알맞다. 출수 · 성숙을 앞당기지 않고 파종 · 모내기를 앞당겨서 생육기간을 연장시켜 증수를 꾀하려고 할 때에는 감광형이 가장 알맞다.
'재배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80. 연작과 기지 (0) | 2022.10.14 |
---|---|
79. 우리나라 재배 기술의 변천과 작부체계 (0) | 2022.10.13 |
77. 일장효과의 농업적 이용과 품종의 기상생태형 성질 (0) | 2022.10.11 |
76. 일장효과의 기구와 개화 이외의 일장효과 (0) | 2022.10.10 |
75. 일장효과 영향조건 (0) | 2022.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