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학 공부109 73. 버날리제이션(춘화, 춘화처리)(2) - 버날리제이션(춘화, 춘화처리)(2) - 버날리제이션(춘화처리)이란 다음과 같다(2). - 이춘화와 재춘화 저온버날리제이션에서 고온은 버날리제이션효과를 감쇄한다. 밀에서 8시간의 0~5℃ 처리와 16시간의 25~30℃ 처리를 조합해서 계속 처리하면 저온처리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밀에서 저온버날리제이션을 실시한 직후에 35℃ 정도의 고온처리를 하면 버날리제이션효과를 상실하며, 이와 같은 현상은 다른 작물에서도 인정되는데, 이를 ‘이춘화’라고 한다. 저온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이춘화하기가 힘들어지며, 어느 기간이 지나면(가을호밀에서는 8주일 이상의 저온처리) 고온조건을 주어도 이춘화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를 ‘버날리제이션효과의 정착’이라고 한다. 가을호밀에서는 이춘화 후에 다시 저온처리를 하면 다.. 2022. 10. 7. 72. 버날리제이션(춘화, 춘화처리) - 버날리제이션(춘화, 춘화처리) - 버날리제이션(춘화, 춘화처리)이란 다음과 같다. 식물체가 생육의 일정 시기(주로 초기)에 저온을 경과함으로써 화성, 즉 꽃눈의 분화 · 발육이 유도 · 촉진되거나 또는 생육의 일정 시기(주로 초기)에 일정 기간 인위적인 저온을 주어서 화성을 유도 · 촉진하는 것을 ‘버날리제이션(vernalization, 춘화 또는 춘화처리)’이라고 한다. 엄밀하게는 전자를 춘화, 후자를 춘화처리라고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결국 버날리제이션은 일정한 저온 조건에서 식물의 감온상(생물의 발육 과정에서 일정한 온도가 필요한 시기. 보리나 밀 따위는 저온이 필요하고, 벼나 옥수수 따위는 고온이 필요하다)을 경과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버날리제이션현상은 일찍이 클리퍼드(KLIP.. 2022. 10. 6. 71. 상적 발육의 개념 - 상적 발육의 개념 - 상적 발육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 발육상과 상적 발육 작물생육에서 키가 크는 것을 ‘신장’이라 하고, 여러 기관이 양적으로 증대하는 것을 ‘생장’이라고 한다. 그리고 작물이 아생(씨앗에서 싹이 틈) · 분얼(화본과 식물 줄기의 밑동에 있는 마디에서 곁눈이 발육하여 줄기, 잎을 형성하는 일) · 화성(꽃을 피우게 하는 성질) · 등숙(곡실이 여물어 가는 것)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체내에 질적인 재조정 작용이 생기는 것을 ‘발육’이라고 한다. 작물발육의 여러 가지 단계적 양상을 ‘발육상’이라 하고, 작물이 순차적인 여러 발육상을 거쳐서 발육이 완성되는 것을 ‘상적 발육’이라고 한다. 상적 발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발육상의 경과는 영양기관의 발육단계인 영양적 발육(또는 영양생장).. 2022. 10. 5. 70. 군락 수광태세와 생육단계에서의 일사 - 군락 수광태세와 생육단계에서의 일사 - 포장 광합성이란 다음과 같다(2). - 군락의 수광태세 군락(같은 생육 조건에서 떼를 지어 자라는 식물 집단. 겉보기의 특징에 따라 수림ㆍ초원ㆍ황원ㆍ수생 식물 군락 따위로 크게 나뉜다)의 최적 엽면적지수는 군락의 수광태세(엽 면적 속으로 빛이 얼마만큼 많이 고루 투과하는지를 나타내는 식물체의 군락 구조 상태)가 좋을 때 커진다. 또한, 동일 엽면적이라도 군락의 수광능률은 수광태세가 좋을 때 높아진다. 따라서, 수광태세의 개선은 광에너지의 이용도를 높이는 데 기본적으로 중요하다. 군락의 수광태세를 개선하려면 좋은 초형(plant type, 풀 종류의 고유한 생육 형태. 줄기의 분지 유무와 생육 습성 따위에 따라 분류한다)의 품종을 육성하고 재배법도 개선하여 군락의.. 2022. 10. 4. 69. 고립상태에서의 광포화점과 포장 광합성 - 고립상태에서의 광포화점과 포장 광합성 - 보상점과 광포화점이란 다음과 같다(2). - 고립상태에서의 광포화점 특정한 몇 개의 잎이나 한 개체가 고립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실험 대상이 되는 각각의 잎이 직사광을 받는 경우를 ‘고립상태’라고 한다. 따라서, 포장(논밭과 채소밭을 통틀어 이르는 말)에서는 극히 생육 초기에 여러 개체의 잎들이 서로 중첩되기 전의 상태가 이에 해당하고, 어느 정도 자라면 고립상태는 형성되지 않는다. 고립상태에서의 광포화점은 경우에 따라 측정치의 변이가 있지만, 양생식물(햇빛이 잘 드는 양지에서 잘 자라는 식물. 대부분의 일년초와 농작물 따위가 속한다)의 경우라도 전체 조사 광량보다는 훨씬 낮고, 각 식물의 광포화점을 조사 광량에 대한 비율로 표시한 몇 가지 예를 들면 아래와 .. 2022. 10. 3. 68. 광합성과 태양에너지의 이용 및 보상점과 광포화점 - 광합성과 태양에너지의 이용 및 보상점과 광포화점 - 광합성과 태양에너지의 이용은 다음과 같다. 지구의 대기권 상층부에 도달하는 ‘태양복사(태양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그 전자기파의 파장에 따라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 엑스선 따위로 나눈다)’를 ‘태양상수’라고 하는데, 그 값은 1,367Wm^(-2) {1.96 cal m^(-2) min^(-1)}이다. 태양복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대기권 상층부의 태양광선 중에서 약 47%(굵은 숫자)만이 지표면에 도달한다고 한다. 대기권 상층부의 태양광선 : 100% 1) 구름을 통하여 공급되는 부분 : 100% 태양광선 중 52% 1-1) 산란광으로 공간에 반사되는 부분 : 52% 중 25% 1-2) 구름에 흡수되는 부분 : 25% 중 .. 2022. 10. 2. 이전 1 ··· 4 5 6 7 8 9 10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