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1

85. 종자의 품질 - 종자의 품질 종자의 품질을 결정하는 외적 조건, 내적 조건, 종자 검사, 종자 보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 종자의 품질은 다음과 같다. 종자의 품질은 다음과 같은 조건들에 의해 결정된다. - 외적 조건 1. 순도 전체 종자에 대한 ‘순수종자’의 중량비를 ‘순도’라고 하며, 순도가 높을수록 종자의 품질이 향상된다. 불순물에는 이형종자 · 잡초 종자 · 협잡물(흙, 모래, 돌, 잎, 줄기 등) 등이 있다. 2. 종자의 크기와 중량 종자의 크기는 보통 1,000립중 또는 100립중으로 표시하며, 종자의 충실도(무게)는 비중 또는 1ℓ 중으로 나타낸다. 종자는 일반적으로 크고 무거운 것이 충실하며, 발아 및 생육이 좋다. 3. 색택 및 냄새 품종 고유의 신선한 색택(빛나는 윤기, 색택도는 윤기가 도는 .. 2022. 10. 26.
84. 종묘의 뜻과 종류, 종자의 형태와 구조 - 종묘의 뜻과 종류, 종자의 형태와 구조 종묘의 뜻은 무엇인지, 종자의 분류는 어떠한지 살펴보고 종자의 형태와 구조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한다. - 종묘의 뜻과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종묘의 뜻 식물번식의 시발점(일이 처음 시작되는 지점)이 되는 종자와 모를 합하여 ‘종묘’라고 한다. 번식에 쓰이는 줄기와 잎도 종묘에 포함된다. - 종자의 분류 넓은 뜻의 종자는 영양체(생식에 직접 관여하지 않고 개체 영양에 관계하는 부분을 뜻한다. 종자식물은 뿌리ㆍ줄기ㆍ잎, 동물은 생식 기관 이외 부분이 이에 해당한다), 버섯의 종균(버섯의 씨가 되는 균사를 뜻한다)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유성생식을 거친, 즉 수정에 의하여 밑씨(꽃이 피는 식물의 꽃의 암꽃술에 있는 중요 기관)가 발육한 것을 식물학상 종자라고 한다.. 2022. 10. 24.
83. 우리나라 작부체계의 변천과 발전 방향 - 우리나라 작부체계의 변천과 발전 방향 우리나라 논과 밭의 작부체계는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 우리나라 작부체계의 변천 및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다. - 논 작부체계의 변천 1910년대에 경기 · 강원 · 충청지방은 답리작(벼를 수확한 논에 보리나 채소 등을 심는 일)이 일부 있었으며, 전라 · 경상지방은 논 면적의 약 20%가 답리작이었다. 식량 증산이 절실하였던 1960년대에는 논 면적의 약 80%에 답리작이 이루어졌다. 1970년대부터 논 작부체계는 전통적인 벼+맥류 체계에서 벗어나 채소와 잡곡을 위주로 한 경제작물(다른 작물을 경작했을 때보다 더 많은 소득을 올리는 작물을 뜻한다)이 답리작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였는데, 2003년 맥류의 답리작은.. 2022. 10. 22.
82. 답전윤환과 혼파, 그 밖의 작부체계 - 답전윤환과 혼파, 그 밖의 작부체계 답전윤환의 뜻과 방법, 그 효과와 한계를 살펴보고 혼파의 뜻과 방법, 그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그리고 앞서 살펴본 작부체계 외에 다른 작부체계도 알아보도록 한다. - 답전윤환은 다음과 같다. - 답전윤환의 뜻과 방법 논을 몇 해마다 담수(논에 물을 대는 것)한 논의 상태와 배수한 밭의 상태로 돌려가면서 이용하는 것을 ‘답전윤환’이라고 하며, 벼가 생육하지 않는 기간만 맥류나 감자를 재배하는 ‘답리작’이나 ‘답전작’과는 그 뜻이 다르다. 우리나라의 답전윤환은 최근에 벼-콩의 방식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나, 미국에서는 벼-콩-밀의 답전윤환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근래 일본에서는 채소와 목초를 도입한 답전윤환을 발전시켰다. 일본에서 벼-벼-채소-채소와 같은.. 2022. 10. 20.
81. 윤작 방식과 작물의 선택 및 윤작 효과 - 윤작 방식과 작물의 선택 및 윤작 효과 윤작이란 무엇인지 살펴보고 윤작의 방식과 윤작에서의 작물 선택, 윤작의 효과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 윤작이란 다음과 같다. 한 포장(논과 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에 연작(동일한 땅에 동일한 작물을 해마다 심어 가꾸는 것)하지 않고 몇 가지 작물을 특정한 순서로 규칙적으로 반복하여 재배해 나가는 것을 ‘윤작(돌려짓기)’이라고 하며, 유럽에서 발달한 작부 방식이다. - 윤작 방식 1. 순 3 포식 농법 ‘순 3 포식 농법’은 포장을 삼등분하여 경지의 2/3는 춘파 곡물(봄에 씨를 뿌리는 곡물) 또는 추파 곡물(가을에 씨를 뿌리는 곡물)을 재식(농작물이나 나무를 심는 것)하고 나머지 1/3은 휴한(토질을 개량하기 위해 일정 기간 작물 재배를.. 2022. 10. 19.
80. 연작과 기지 - 연작과 기지 연작과 기지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작물의 종류와 기지, 기지의 원인, 그리고 기지에 대한 대책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 연작과 기지란 다음과 같다. 동일한 포장(논과 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에 같은 종류의 작물을 계속해서 재배하는 것을 ‘연작(이어짓기)’이라 하고, 연작을 할 때는 작물의 생육(작물이 나서 길러지는 것)이 뚜렷하게 나빠지는 일이 있는데, 이를 ‘기지’라고 한다. 수익성과 수요량이 많고 기지현상이 별로 없는 작물은 연작하는 것이 보통이며, 벼농사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 기지현상이 있더라도 채소처럼 수익성이 높은 작물은 기지에 대한 대책을 세우고 연작한다. - 작물의 종류와 기지 연작의 피해, 즉 기지현상은 작물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1. 작.. 2022.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