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양오염2

46. 토양오염과 재배환경에서의 수분 - 토양오염 - 토양오염은 다음과 같다. 토양오염은 농업이 아닌 다른 산업부문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농경지로 유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대기오염과 수질오염이 원인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고, 농업 내부에서 비료·농약·제초제 등의 다량 투입으로 인하여 일어나기도 한다. - 중금속 오염 오염 배출원은 금속 광산의 폐수, 정련 및 제련소의 분진, 금속공장의 폐수,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터리공장, 화력발전소 등이다. [피해기구] 우려 또는 대책기준치 이상을 흡수하면 효소 단백의 금속이온과 치환하여 호흡작용이 저해되는 경우부터, 심한 경우에는 세포가 사멸한다. 1) 비소(As) : 논 토양에 비소의 함량이 10ppm을 넘으면 벼의 수량이 감소한다. 2) 구리(Cu) : 생육장해를 받으며, 벼보다 맥류가 더욱 민감하게 .. 2022. 9. 10.
36. 토양 필수원소의 생리작용과 무기성분의 과잉해 - 토양 필수원소의 생리작용과 무기성분의 과잉해 - 토양 중의 무기성분은 다음과 같다(2). - 필수원소의 생리작용(2) 11. 아연 아연(Zn)은 촉매 또는 반응조절 물질로 작용하며,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대사에 관여하고, 엽록소의 형성에도 관여한다. 결핍하면 황백화(잎이 황백색으로 변하는 현상. 엽록소의 구성 성분인 질소, 마그네슘 따위가 결핍되거나 엽록소 생합성에 필요한 철과 망간이 결핍되어 나타난다), 괴사, 조기 낙엽 등을 초래하며, 감귤류에서는 잎무늬병, 소엽병, 결실불량 등을 초래한다. 12. 구리 구리(Cu)는 구리단백으로서 효소작용을 하며, 광합성·호흡작용 등에 관여하고, 엽록소의 생성을 촉진한다. 결핍하면 황백화·괴사·조기 낙엽 등을 초래하고, 단백질의 생성이 억제된다. 과잉하면 뿌리의 .. 2022. 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