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아2

89. 종자의 발아와 생육 촉진 처리, 종자 코팅 - 종자의 발아와 생육 촉진 처리, 종자 코팅 종자의 발아에 대해 살펴보고 생육 촉진 처리에는 어떤 방법들이 있는지, 그리고 종자 코팅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한다. - 종자의 발아와 생육 촉진 처리는 다음과 같다. 1. 최아 벼 · 맥류 · 땅콩 · 가지 등의 경우 발아 · 생육을 촉진할 목적으로 종자의 싹을 약간 틔워서 파종하는데, 이를 ‘최아’라고 한다. 이는 벼의 조기 육묘, 한랭지의 벼농사, 맥류의 만파 재배(씨를 늦게 뿌려 재배하는 방법), 땅콩의 생육 촉진 등에 이용된다. 벼 종자의 경우 침종(싹이 트기에 필요한 수분을 흡수하기 위하여 씨를 뿌리기 전에 물에 담가 불리는 일)을 포함한 발아 기간은 10℃에서 약 10일, 20℃에서 약 5일, 30℃에서 약 3일로 발아(침종) 적산온도는 100℃.. 2022. 11. 7.
72. 버날리제이션(춘화, 춘화처리) - 버날리제이션(춘화, 춘화처리) - 버날리제이션(춘화, 춘화처리)이란 다음과 같다. 식물체가 생육의 일정 시기(주로 초기)에 저온을 경과함으로써 화성, 즉 꽃눈의 분화 · 발육이 유도 · 촉진되거나 또는 생육의 일정 시기(주로 초기)에 일정 기간 인위적인 저온을 주어서 화성을 유도 · 촉진하는 것을 ‘버날리제이션(vernalization, 춘화 또는 춘화처리)’이라고 한다. 엄밀하게는 전자를 춘화, 후자를 춘화처리라고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결국 버날리제이션은 일정한 저온 조건에서 식물의 감온상(생물의 발육 과정에서 일정한 온도가 필요한 시기. 보리나 밀 따위는 저온이 필요하고, 벼나 옥수수 따위는 고온이 필요하다)을 경과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버날리제이션현상은 일찍이 클리퍼드(KLIP.. 2022. 10.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