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의 품종2 10. 작물 품종의 계통과 품종의 특성 재배학 공부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작물 품종의 계통과 품종의 특성' 입니다. 작물 품종의 계통과 품종의 특성 작물 품종의 계통과 품종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작물의 품종과 계통 1. 품종 작물의 생태형은 다양한 재배환경에 적응하여 생긴 것이며, 각 생태형에는 많은 ‘품종’이 속해 있다. 품종이란 다른 것과 구별되는 특성을 지니고, 그 특성이 재배, 이용상 지장이 없을 정도로 균일하며, 세대가 진전되어도 균일한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개체군을 가리킨다. 다시 말하면, 품종은 작물의 기본 단위이면서 재배적 단위로서 특성이 균일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집단’이다. 품종마다 고유한 이름을 가진다. 품종명은 특정한 원칙에 의하여 명명되는 것은 아니다. 대개 품종의 특성이나 유래 등을 나타내는 낱말에 작물.. 2022. 8. 5. 9. 작물의 품종과 유전, 육종 재배학 공부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작물의 품종과 유전, 육종' 입니다. 작물의 품종과 유전과 육종 작물의 품종과 유전과 육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작물의 품종과 유전과 육종에 대한 개요 재배 기술은 주어진 재배환경(2022년 현재, 기후변화와 같이 불확실한 재배환경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스마트팜이 확산되고 있다)에서 작물의 품종이 최대한 능력을 발휘하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그동안 작물의 생산성은 큰 발전을 이룩하였다. FAO(유엔 식량농업기구)에 의하면 현재 옥수수, 밀, 벼(세계 3대 식량작물)의 단위면적 당 세계 평균 생산량은 1948년~1952년에 비해 각각 1.6배, 2.3배, 2.8배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에 비해 생산량이 크게 증가했다는 정도로만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어떤 기.. 2022. 8.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