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작물의 육종2

24. 작물의 육종과 자식성 작물의 육종 - 작물의 육종과 자식성 작물의 육종 (드디어 ‘작물의 유전성’이 끝났다!! 기쁘다..) - 작물의 육종 과정은 다음과 같다. 작물육종은 목표 형질에 대한 유전변이를 만들고, 우량한 유전자형을 선발하여 신품종으로 육성하며, 이를 증식, 보급하는 과학기술이다. 육종 과정은 육종목표 설정부터 신품종 보급에 이르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친다. 육종목표를 설정할 때는 기존 품종이 지닌 결점의 보완, 농업인과 소비자의 요구, 미래의 수요 등에 부합하는 형질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정한다. 육종목표가 정해지면 그에 적합한 육종재료를 선정하고 육종방법을 결정하는데, 이 단계에서는 대상 작물의 생식 방법과 목표 형질의 유전양식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변이작성(변이를 일으키는 것 또는 만드는 것)은 자연변이를 이용하거나, 인공.. 2022. 8. 19.
9. 작물의 품종과 유전, 육종 재배학 공부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작물의 품종과 유전, 육종' 입니다. 작물의 품종과 유전과 육종 작물의 품종과 유전과 육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작물의 품종과 유전과 육종에 대한 개요 재배 기술은 주어진 재배환경(2022년 현재, 기후변화와 같이 불확실한 재배환경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스마트팜이 확산되고 있다)에서 작물의 품종이 최대한 능력을 발휘하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그동안 작물의 생산성은 큰 발전을 이룩하였다. FAO(유엔 식량농업기구)에 의하면 현재 옥수수, 밀, 벼(세계 3대 식량작물)의 단위면적 당 세계 평균 생산량은 1948년~1952년에 비해 각각 1.6배, 2.3배, 2.8배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에 비해 생산량이 크게 증가했다는 정도로만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어떤 기.. 2022. 8. 5.